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21일 오후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어.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이번 누리호 2차 발사가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
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t 규모의 3단 발사체로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 위성 발사용 로켓이야.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됐어. 2010년부터 개발된 누리호는 설계부터 제작, 시험, 인증과 발사까지 전 과정을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들었어. 우주 분야는 국가 간 기술 이전이 엄격히 금지되어있어 누리호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해. 12년 3개월 동안 25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누리호의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전 과정을 진행했어. 이를 위해 투입된 예산만 무려 약 1조 9,572억원이야.
대한민국 최초의 로켓인 ‘나로호’와 비교할 때, ‘누리호’는 1단 로켓의 추력에서 1.7배, 탑재체의 중량은 15배로 향상되었어. 무엇보다도 ‘나로호’가 핵심인 1단 엔진을 러시아와 공동 개발, 제작한 한계를 나타냈던 반면 ‘누리호’는 1단 엔진을 포함한 주요 구성품들의 대부분을 대한민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 제작했어. 핵심 부품인 75톤급 액체엔진과 누리호 전체 부피의 70-80%를 차지하는 연료와 산화제를 담을 추진제 탱크 외에 300여 개의 국내 산업체가 참여한 점에서 누리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첫 국산 우주로켓이라 볼 수 있어.
2. 성공적인 2차 발사
이번 2차 발사는 6월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어. 앞서 지난 1차 발사는 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 발사했으나 3단부 엔진 조기 연소로 최종 궤도 연착에 실패한 바 있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차 발사의 실패 요인이었던 3단 엔진 조기연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단 산화제탱크 내부의 고압헬륨탱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부 고정부를 보강하고 산화제 탱크 맨홀 덮개 두께를 강화했다고 밝혔어.
누리호는 성공적으로 발사돼 인공위성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켰다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공식 확인했어. 이 장관은 이날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늘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며 "오늘 오후 4시 발사된 누리호는 15분 46초 만에 목표 궤도인 700㎞에 성능 검증 위성과 위성 모사체(가짜 위성)를 진입시켰다"고 밝혔어.이어 발사체 개발 사업에 대해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라며 "우주강국을 향한 담대한 여정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어.
3. 앞으로 어떻게 될까?
이번 누리호 발사는 1993년 6월 최초의 과학로켓이 발사된 지 30년 만이야.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운송 능력을 확보하고, 자주적인 국가 우주 개발 역량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어. 정부는 이번 발사를 통해 우주발사체 누리호 개발이 완료된 만큼 오는 2027년까지 신뢰성 향상을 위해 4차례의 추가적인 반복발사를 실시할 계획이야. 또한 한국형 발사체 기술의 지속 고도화를 통한 우주수송능력 확보 및 발사체 기술의 민간 이전과 공동연구를 통해 설계에서부터 제작·조립·발사 운용에 이르기까지 발사체 전주기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야. 2030년 이후엔 한국형 무인 달 착륙선을 실은 차세대 발사체(KSLV-Ⅲ)를 쏘아올리는 게 목표이기도 해.
한국형 첫 발사체 ‘누리호’의 성공으로 한국 우주산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미국·러시아·유럽·일본·중국·인도에 이어 실용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우주에 보낼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로 우뚝 선 만큼 우주 선진국 반열에 오르기 위한 디딤돌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어.
※ 본 콘텐츠와 관련하여 의견 또는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메일(media@riesplant.com)로 문의해줘.
21일 오후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어.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이번 누리호 2차 발사가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
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t 규모의 3단 발사체로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 위성 발사용 로켓이야.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됐어. 2010년부터 개발된 누리호는 설계부터 제작, 시험, 인증과 발사까지 전 과정을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들었어. 우주 분야는 국가 간 기술 이전이 엄격히 금지되어있어 누리호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해. 12년 3개월 동안 25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누리호의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전 과정을 진행했어. 이를 위해 투입된 예산만 무려 약 1조 9,572억원이야.
대한민국 최초의 로켓인 ‘나로호’와 비교할 때, ‘누리호’는 1단 로켓의 추력에서 1.7배, 탑재체의 중량은 15배로 향상되었어. 무엇보다도 ‘나로호’가 핵심인 1단 엔진을 러시아와 공동 개발, 제작한 한계를 나타냈던 반면 ‘누리호’는 1단 엔진을 포함한 주요 구성품들의 대부분을 대한민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 제작했어. 핵심 부품인 75톤급 액체엔진과 누리호 전체 부피의 70-80%를 차지하는 연료와 산화제를 담을 추진제 탱크 외에 300여 개의 국내 산업체가 참여한 점에서 누리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첫 국산 우주로켓이라 볼 수 있어.
2. 성공적인 2차 발사
이번 2차 발사는 6월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어. 앞서 지난 1차 발사는 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 발사했으나 3단부 엔진 조기 연소로 최종 궤도 연착에 실패한 바 있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차 발사의 실패 요인이었던 3단 엔진 조기연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단 산화제탱크 내부의 고압헬륨탱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부 고정부를 보강하고 산화제 탱크 맨홀 덮개 두께를 강화했다고 밝혔어.
누리호는 성공적으로 발사돼 인공위성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켰다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공식 확인했어. 이 장관은 이날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늘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며 "오늘 오후 4시 발사된 누리호는 15분 46초 만에 목표 궤도인 700㎞에 성능 검증 위성과 위성 모사체(가짜 위성)를 진입시켰다"고 밝혔어.이어 발사체 개발 사업에 대해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라며 "우주강국을 향한 담대한 여정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어.
3. 앞으로 어떻게 될까?
이번 누리호 발사는 1993년 6월 최초의 과학로켓이 발사된 지 30년 만이야.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운송 능력을 확보하고, 자주적인 국가 우주 개발 역량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어. 정부는 이번 발사를 통해 우주발사체 누리호 개발이 완료된 만큼 오는 2027년까지 신뢰성 향상을 위해 4차례의 추가적인 반복발사를 실시할 계획이야. 또한 한국형 발사체 기술의 지속 고도화를 통한 우주수송능력 확보 및 발사체 기술의 민간 이전과 공동연구를 통해 설계에서부터 제작·조립·발사 운용에 이르기까지 발사체 전주기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야. 2030년 이후엔 한국형 무인 달 착륙선을 실은 차세대 발사체(KSLV-Ⅲ)를 쏘아올리는 게 목표이기도 해.
한국형 첫 발사체 ‘누리호’의 성공으로 한국 우주산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미국·러시아·유럽·일본·중국·인도에 이어 실용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우주에 보낼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로 우뚝 선 만큼 우주 선진국 반열에 오르기 위한 디딤돌을 마련했다고 평가했어.
※ 본 콘텐츠와 관련하여 의견 또는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메일(media@riesplant.com)로 문의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