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사회연구원입니다.
2023년 6월 27일(화), 기술정책센터에서 정범진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를 모시고 “후쿠시마 처리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적 사실에 대한 논란과 갈등”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도쿄전력에서는 한국어로 해수 및 어류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지점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세계보건기구 음용수 기준 농도에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해줍니다.


일본 내에 자료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원자력안전위원회 및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자료를 통해서도 후쿠시마 처리수가 국제기준에 비해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발제자는 배출기준을 넘는지, 안 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어떤 질문을 하는가? 과학기반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후쿠시마 방류를 예로 들면,
· 배출농도가 얼마나 되나?
· 총 배출량은 얼마인가?
·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은가?
· 공개적, 검증 가능하게 추진하는가?
이러한 질문을 통해, 세미나에 참석자들은 정보의 투명성, 객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이루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사회연구원입니다.
2023년 6월 27일(화), 기술정책센터에서 정범진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를 모시고 “후쿠시마 처리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적 사실에 대한 논란과 갈등”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도쿄전력에서는 한국어로 해수 및 어류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지점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세계보건기구 음용수 기준 농도에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해줍니다.
일본 내에 자료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원자력안전위원회 및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자료를 통해서도 후쿠시마 처리수가 국제기준에 비해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발제자는 배출기준을 넘는지, 안 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어떤 질문을 하는가? 과학기반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후쿠시마 방류를 예로 들면,
· 배출농도가 얼마나 되나?
· 총 배출량은 얼마인가?
·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은가?
· 공개적, 검증 가능하게 추진하는가?
이러한 질문을 통해, 세미나에 참석자들은 정보의 투명성, 객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