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최근 2030 유권자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뜨겁다.
그러나 2030 유권자에 대한 실질적인 성찰과 구체적인 고민이 이뤄지지 않고,
‘반페미니즘’ 논쟁과 ‘이대남 잡기’에만 몰두하는 정치권의 모습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긴 글이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치를 원한다.
‘돋보기’같은 정치가 아니라 ‘프리즘’같은 정치가 필요하다.
4.7 재보궐 선거가 끝나고 2030 청년유권자들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아무래도 전통적으로 ‘진보’ 지지층이라고 생각되었던 이들이 야당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서였을까. 동시에 2030 유권자들 중 ‘이대남’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다. 군 가산점제를 비롯해 군대와 관련된 법안과 정책제안이 쏟아져나오는 것도 ‘이대남’의 표심을 잡기 위한 정치권의 노력이다.
냉철하게 선거의 결과를 분석하며 청년들의 삶을 위해 정치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답을 내야 하는 지금, 되려 ‘이대남 잡기’에 집중되어 정치의 본질이 퇴색되고 사회를 후퇴시키는 행태가 정치권에서 이뤄지는 점이 매우 우려스럽다. 이번 재보궐 선거 결과가 보여준 민심은 ‘이대남’과 ‘이대녀’ 모두 여당으로부터 등을 돌렸다. 비단 등을 돌린 세대는 2030뿐만 아니라 40대 남성을 제외한 모든 세대, 모든 성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대남’을 잡겠다는 이유로 얄팍한 수와 선동적 언행을 쏟아내는 정치권의 모습은, 정치권에서 여전히 ‘청년’이라는 존재가 남성 중심적 사고로 여겨지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들게 한다. 동시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곱씹어보게 한다.
첫째, 정치권은 제대로 된 반성과 성찰을 하지 않고 있다.
청년문제가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떠오른지 10년이 넘었다. 그동안 수많은 청년활동가들의 노력에 의해 청년의제는 사회 곳곳에서 주요하게 발화되었고, 해결을 약속한 정치권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사회구조의 변화나 권력구조의 개혁 등 장기적으로 준비해 해결해야 했던 구조적 문제를 풀어내지 못했다. 청년 일자리 문제는 결국 경제문제이고, 청년 주거 문제는 부동산 문제이다. 이처럼 거대담론과 유기적으로 얽혀, 가장 취약한 청년계층이 가장 취약하고 가혹하게 상처를 입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청년들이 생존경쟁의 늪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도록 사회 구조를 바꿔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첨예하게 대립될 수 있는 사안이라도 논쟁을 피해선 안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상실된 이들에게 희망을 가져야 한다며 공허한 이야기를 할 것이 아니라, 튼튼한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하고 제도적 공백을 메꿔 청년들에게 정치가 진정 힘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해내는 일이 바로 정치의 책임이다. 무능, 오만, 위선으로 청년들로부터 마음을 잃은 여당과 오직 정쟁에 집중해 청년들로부터 피로감만 얻은 야당이나 사실상 문제해결을 위한 키를 쥐고 있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선거의 결과를 두고 아주 촘촘한 해석과 반성을 해야 할 타이밍이 아닌가? 젠더이슈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짚으며 정당의 실책을 덮고 얕은 고민을 하는 게으른 정치권의 모습을 더는 용납해선 안된다. 청년들의 삶에 도움이 되지 못했던 ‘무능’한 정치, 위선적인 정치의 모습에 대한 처절한 반성과 고민없이 젠더이슈에만 모든 걸 전가해 실질적인 고민으로부터 멀어지는 정치권의 모습은 실망만 남길 뿐이다.
둘째, 정치권이 되려 성별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민주당이 페미니즘에만 올인해 졌다’와 같은 국민의힘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주장이 대표적이다. ‘페미니즘에 올인한 민주당’은 없었다. 설령 페미니즘에만 올인했던 민주당이 실재했다면 2030 여성들이 민주당에 이번 선거 결과보다 더 많은 지지를 보내주었을 것이다. 지자체장 성비위 사건 이후 민주당의 대응은 매우 부적절했고 미흡했다. 여성 안전과 관련된 법안의 통과 과정도 지지부진 했다. 이 전 최고가 말하는 ‘페미니즘에 올인한 민주당’으로 불릴 자격조차 실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준석 전 최고위원은 ‘페미니즘에만’ 집중한 민주당이라는 허구의 존재를 만들어 공격할 지점을 제공하고, 이번 20대 남성의 표심을 해석한답시고 민주당이 페미니즘에만 집중했다는 선동적 언행을 하며 유권자의 뜻을 단순화시켰다. 이같은 주장을 정치권에서 일정 부분 수용하기도 했고 동시에 휘둘리면서, 청년층 표심 잡기가 잘못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페미니즘’ 혹은 ‘젠더이슈’를 다루는 것이 선거 패배로 이어지는 공식처럼 프레이밍 되었다. 결국 우리 사회에서 성평등 의제와 관련한 공론장이 좁아지는 부작용만 발생하고 있고, 사회를 후퇴시키고 있다. 청년 유권자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나, ‘이대남’이라는 특정 계층의 목소리에만 과도하게 집중하며 정치권이 우왕좌왕하는 것은 잘못된 분석에서 야기된 편향된 처방에 불과한 것이다. 더군다나 청년 남성 유권자들을 위한 정책으로 제언되는 내용들이 결국 오래전 미필자에 대한 차별적 요인이 있다는 점에서 위헌판결을 받은 ‘군 가산점제 부활’ 혹은 ‘여성도 군대가라’와 같은 군 관련 이슈에만 머무르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오히려 군과 관련한 문제를 짚고 싶다면, 최근 언론보도에서 다뤄지듯 청년 장병들이 군 부대 내에서 겪는 여러 문제들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또한 군 장병들이 받고 있는 최저임금 수준도 되지 못하는 월급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군대 내에서 겪는 불합리와 부조리를 어떻게 개선하고자 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실효성있고 책임감있는 자세일 것이다. 동시에 청년 여성 유권자들이 제 3지대에 투표한 현상에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하고 있는 부분 역시 정치권이 청년민심을 오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젠더이슈가 더 이상 마이너한 이슈가 아니라는 사실을 정치권은 인지해야 할 것이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치를 원하고 있다. 청년들은 절대 한가지 이슈만을 갖고 투표에 임하지 않는다. 특정한 색깔이나 일관된 하나의 경향성을 갖는다고 보기도 어렵다. 진영논리나 특정 정파에도 갇히지 않는다. 합리적이고, 자유로우며, 냉철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당, 합리적인 정당을 원한다. 정치인은 사회를 진보시킬 수도, 후퇴시킬 수도 있다. 특정 성별을 혐오하는 방식으로 사회의 진보를 이룰 수 있다고 여겨서도 안되며, 혐오와 원망을 등에 업고 이뤄지는 정치가 사회에 해악을 끼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좁은 시야를 가진 ‘돋보기’ 정치가 아니라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담아내는 ‘프리즘’ 정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2030 유권자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뜨겁다.
그러나 2030 유권자에 대한 실질적인 성찰과 구체적인 고민이 이뤄지지 않고,
‘반페미니즘’ 논쟁과 ‘이대남 잡기’에만 몰두하는 정치권의 모습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긴 글이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치를 원한다.
‘돋보기’같은 정치가 아니라 ‘프리즘’같은 정치가 필요하다.
4.7 재보궐 선거가 끝나고 2030 청년유권자들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아무래도 전통적으로 ‘진보’ 지지층이라고 생각되었던 이들이 야당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서였을까. 동시에 2030 유권자들 중 ‘이대남’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다. 군 가산점제를 비롯해 군대와 관련된 법안과 정책제안이 쏟아져나오는 것도 ‘이대남’의 표심을 잡기 위한 정치권의 노력이다.
냉철하게 선거의 결과를 분석하며 청년들의 삶을 위해 정치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답을 내야 하는 지금, 되려 ‘이대남 잡기’에 집중되어 정치의 본질이 퇴색되고 사회를 후퇴시키는 행태가 정치권에서 이뤄지는 점이 매우 우려스럽다. 이번 재보궐 선거 결과가 보여준 민심은 ‘이대남’과 ‘이대녀’ 모두 여당으로부터 등을 돌렸다. 비단 등을 돌린 세대는 2030뿐만 아니라 40대 남성을 제외한 모든 세대, 모든 성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대남’을 잡겠다는 이유로 얄팍한 수와 선동적 언행을 쏟아내는 정치권의 모습은, 정치권에서 여전히 ‘청년’이라는 존재가 남성 중심적 사고로 여겨지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들게 한다. 동시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곱씹어보게 한다.
첫째, 정치권은 제대로 된 반성과 성찰을 하지 않고 있다.
청년문제가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떠오른지 10년이 넘었다. 그동안 수많은 청년활동가들의 노력에 의해 청년의제는 사회 곳곳에서 주요하게 발화되었고, 해결을 약속한 정치권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사회구조의 변화나 권력구조의 개혁 등 장기적으로 준비해 해결해야 했던 구조적 문제를 풀어내지 못했다. 청년 일자리 문제는 결국 경제문제이고, 청년 주거 문제는 부동산 문제이다. 이처럼 거대담론과 유기적으로 얽혀, 가장 취약한 청년계층이 가장 취약하고 가혹하게 상처를 입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청년들이 생존경쟁의 늪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도록 사회 구조를 바꿔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첨예하게 대립될 수 있는 사안이라도 논쟁을 피해선 안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상실된 이들에게 희망을 가져야 한다며 공허한 이야기를 할 것이 아니라, 튼튼한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하고 제도적 공백을 메꿔 청년들에게 정치가 진정 힘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해내는 일이 바로 정치의 책임이다. 무능, 오만, 위선으로 청년들로부터 마음을 잃은 여당과 오직 정쟁에 집중해 청년들로부터 피로감만 얻은 야당이나 사실상 문제해결을 위한 키를 쥐고 있지 못한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선거의 결과를 두고 아주 촘촘한 해석과 반성을 해야 할 타이밍이 아닌가? 젠더이슈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짚으며 정당의 실책을 덮고 얕은 고민을 하는 게으른 정치권의 모습을 더는 용납해선 안된다. 청년들의 삶에 도움이 되지 못했던 ‘무능’한 정치, 위선적인 정치의 모습에 대한 처절한 반성과 고민없이 젠더이슈에만 모든 걸 전가해 실질적인 고민으로부터 멀어지는 정치권의 모습은 실망만 남길 뿐이다.
둘째, 정치권이 되려 성별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민주당이 페미니즘에만 올인해 졌다’와 같은 국민의힘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주장이 대표적이다. ‘페미니즘에 올인한 민주당’은 없었다. 설령 페미니즘에만 올인했던 민주당이 실재했다면 2030 여성들이 민주당에 이번 선거 결과보다 더 많은 지지를 보내주었을 것이다. 지자체장 성비위 사건 이후 민주당의 대응은 매우 부적절했고 미흡했다. 여성 안전과 관련된 법안의 통과 과정도 지지부진 했다. 이 전 최고가 말하는 ‘페미니즘에 올인한 민주당’으로 불릴 자격조차 실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준석 전 최고위원은 ‘페미니즘에만’ 집중한 민주당이라는 허구의 존재를 만들어 공격할 지점을 제공하고, 이번 20대 남성의 표심을 해석한답시고 민주당이 페미니즘에만 집중했다는 선동적 언행을 하며 유권자의 뜻을 단순화시켰다. 이같은 주장을 정치권에서 일정 부분 수용하기도 했고 동시에 휘둘리면서, 청년층 표심 잡기가 잘못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페미니즘’ 혹은 ‘젠더이슈’를 다루는 것이 선거 패배로 이어지는 공식처럼 프레이밍 되었다. 결국 우리 사회에서 성평등 의제와 관련한 공론장이 좁아지는 부작용만 발생하고 있고, 사회를 후퇴시키고 있다. 청년 유권자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나, ‘이대남’이라는 특정 계층의 목소리에만 과도하게 집중하며 정치권이 우왕좌왕하는 것은 잘못된 분석에서 야기된 편향된 처방에 불과한 것이다. 더군다나 청년 남성 유권자들을 위한 정책으로 제언되는 내용들이 결국 오래전 미필자에 대한 차별적 요인이 있다는 점에서 위헌판결을 받은 ‘군 가산점제 부활’ 혹은 ‘여성도 군대가라’와 같은 군 관련 이슈에만 머무르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오히려 군과 관련한 문제를 짚고 싶다면, 최근 언론보도에서 다뤄지듯 청년 장병들이 군 부대 내에서 겪는 여러 문제들을 바로 잡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또한 군 장병들이 받고 있는 최저임금 수준도 되지 못하는 월급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군대 내에서 겪는 불합리와 부조리를 어떻게 개선하고자 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실효성있고 책임감있는 자세일 것이다. 동시에 청년 여성 유권자들이 제 3지대에 투표한 현상에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하고 있는 부분 역시 정치권이 청년민심을 오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젠더이슈가 더 이상 마이너한 이슈가 아니라는 사실을 정치권은 인지해야 할 것이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치를 원하고 있다. 청년들은 절대 한가지 이슈만을 갖고 투표에 임하지 않는다. 특정한 색깔이나 일관된 하나의 경향성을 갖는다고 보기도 어렵다. 진영논리나 특정 정파에도 갇히지 않는다. 합리적이고, 자유로우며, 냉철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청년들은 유능한 정당, 합리적인 정당을 원한다. 정치인은 사회를 진보시킬 수도, 후퇴시킬 수도 있다. 특정 성별을 혐오하는 방식으로 사회의 진보를 이룰 수 있다고 여겨서도 안되며, 혐오와 원망을 등에 업고 이뤄지는 정치가 사회에 해악을 끼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좁은 시야를 가진 ‘돋보기’ 정치가 아니라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담아내는 ‘프리즘’ 정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