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4·7 재·보선은 선거 역사상 전례가 없는 MZ세대 ‘표심(票心)의 역습’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번 선거는 탄핵 사태 이후 보수 정당의 첫 승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MZ세대의 반(反)민주당 기류가 지속될 것인지는 예단하기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내년 3월 대선에서도 판도를 좌우할 것이란 점이다.
4·7 재·보궐선거는 우리나라 선거 역사상 전례가 없는 20·30대 ’표심(票心)의 역습’으로 기록될 것이다. 특히 작년 총선과 비교하면 불과 1년 만에 20·30대 투표 성향의 급격한 변화는 충격적이었다. 작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당시 야당이던 미래통합당을 20대(56.4% 대 32.0%)와 30대(61.1% 대 29.7%)에서 득표율 격차가 15~30%포인트나 앞섰다. 하지만 4·7 재·보선에선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에게 20대(34.1% 대 55.3%)와 30대(38.7% 대 56.5%)에서 정반대로 20%포인트 가량의 차이로 뒤졌다. 우리나라가 선거 때마다 ‘시소’처럼 이리저리 표심이 바뀌는 스윙보터(swing voter)가 많은 편이라고 하지만 이처럼 1년 만에 민심이 돌변한 적은 없었다.
선거의 중심에 선 MZ세대
20·30대 즉 MZ세대(1980년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일컫는 합성어)의 ‘반란’으로 불릴 수 있었다. 여권 성향의 40대와 야권 성향의 50·60대 이상은 표심(票心)이 그다지 바뀐 게 없지만, 유독 MZ세대만 급변했다. 이들이 선거의 승부를 결정짓는 스윙보터로 굳건히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유권자 연령을 5세 단위로 나눠보면 특히 18~34세가 선거의 중심이란 게 확연하게 드러난다. 4·7 재·보선 직전 3월 27일 칸타코리아의 정당 지지율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35~54세는 37.8% 대 27.6%로 민주당이 더 높았다. 반면 55세 이상은 27.8% 대 35.6%로 국민의힘이 강세였다. 30대 후반에서 50대 전반은 여권 지지, 50대 후반부터는 야권 지지가 이번 선거에서도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18~34세는 여야 지지율이 22.0% 대 29.1%로 야권 지지가 높았다. 유권자 구성비를 보면 35~54세는 37.1%, 55세 이상은 38.1%로 거의 같았고, 18~34세가 24.8%였다. 즉 유권자 4명 중 1명인 18~34세가 어디로 쏠리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민심의 변곡점은 조국 사태와 추·윤 갈등
20·30대 반란의 시작은 20대였다. 20대 민심이 돌아선 것은 이른바 ‘조국 사태’가 시작이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2019년 초반에 50%였던 20대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조국 사태가 절정이던 9월에 41%로 하락하며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42%)보다 처음으로 낮아졌다. 여당이 승리한 2020년 총선 이후 다시 60% 근처까지 치솟았던 20대의 문 대통령 지지율은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해 직무 정지 명령을 내리고 ‘추·윤 갈등’이 절정에 달했던 12월에 다시 37%로 추락했다.
20대에서 시작된 반란은 이때부터 30대로 치고 올라갔다. 작년 말 추·윤 갈등 국면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30대의 부정 평가가 50%로 43%였던 긍정 평가보다 처음으로 앞지르기 시작했다. 20·30대에게는 “부모 잘 만난 것도 능력”이라며 국민을 조롱했던 정유라씨의 행동과 조국 전 장관 일가의 입시 비리는 다를게 없었고, ‘윤석열 쳐내기’를 위해 검찰 개혁을 앞세운 추 전 장관에 대해서도 시선이 곱지 않았다.
4월초 케이스탯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우리사회가 공정하지 않다’는 평가가 20대(88%)와 30대(82%)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훨씬 높았다.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20대(71%)와 30대(61%)에서 윗세대에 비해 가장 높았다. 여기에 정부와 여당의 ‘위선’과 ‘내로남불’은 이들의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 땅투기 의혹, 임대차 3법을 주도한 박주민 의원과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던 김상조 전 정책실장의 임대료 인상 논란은 20·30대의 분노를 유발한 치명적인 선거 악재(惡材)였다.
MZ세대 반란은 대선까지 이어질까
하지만 4·7 재·보선에서 MZ세대의 야당 지지에 대해선 그 실체를 파악해봐야 한다. 야당 지지가 일시적인 것이지 구조적인 것인지에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20대의 투표율이 높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탄핵 정국 직후였던 2017년 대선에서 20대 투표율(76.1%)은 30대(74.2%)와 40대(74.9%)를 제쳤다. 2018년 지방선거도 20대 투표율은 52.0%로, 30대(54.3%), 40대(58.6%)와 큰 차이가 없었다. 2020년 총선도 20대 투표율(58.7%)은 30대(57.1%), 40대(63.5%)와 크게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4·7 재·보선은 중앙선관위의 연령별 투표율이 최종적으로 발표되진 않았지만, 선거 직전 칸타코리아 조사에서 적극적 투표 의향이 20대는 48.1%로 30대(75.7%), 40대(77.1%) 등보다 크게 낮았다.
배경은 정치 참여가 삶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느끼는 ‘정치적 효능감’ 하락이 꼽힌다. 탄핵 정국 이후 문재인 정부 탄생을 위해 투표장으로 몰려갔지만 실업률과 집값 상승, 조국 사태 등으로 20대에게 깊은 상처를 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보수 야권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도 일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투표장에 나온 20대는 야당을 많이 지지했지만, 나오지 않은 상당수의 20대는 적극적으로 야당에게 표를 던지기엔 아직 마음이 돌아서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난달 한국갤럽 조사에서 민주당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 20대와 30대는 각각 33%와 29%에 그쳤다. 국민의힘도 호감도가 각각 26%와 29%로 낙제점을 받았다. 케이스탯 조사에선 ‘현재 마음에 드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20대 84%, 30대 70%로 대다수에 달했다. 이번 선거는 탄핵 사태 이후 보수 정당의 첫 승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MZ세대의 투표율이나 각종 여론 지표로 보면 야당에 대해서도 여전히 신뢰가 높지 않다는 게 확인되고 있다.
MZ세대의 반(反)민주당 기류가 지속될 것인지는 예단하기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내년 3월 대선에서도 판도를 좌우할 것이란 점이다. MZ세대의 표심은 ‘디스코 팡팡(빙빙 돌면서 위아래로 흔들리는 놀이기구)’처럼 선거 때마다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대다수의 20·30대가 우리 사회의 ‘불공정’을 주시할 뿐 아니라 삶에 대한 전망의 위기를 겪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그 위기의 근원과 해법이 무엇인지 따져봐야 한다.
4·7 재·보선은 선거 역사상 전례가 없는 MZ세대 ‘표심(票心)의 역습’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번 선거는 탄핵 사태 이후 보수 정당의 첫 승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MZ세대의 반(反)민주당 기류가 지속될 것인지는 예단하기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내년 3월 대선에서도 판도를 좌우할 것이란 점이다.
4·7 재·보궐선거는 우리나라 선거 역사상 전례가 없는 20·30대 ’표심(票心)의 역습’으로 기록될 것이다. 특히 작년 총선과 비교하면 불과 1년 만에 20·30대 투표 성향의 급격한 변화는 충격적이었다. 작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당시 야당이던 미래통합당을 20대(56.4% 대 32.0%)와 30대(61.1% 대 29.7%)에서 득표율 격차가 15~30%포인트나 앞섰다. 하지만 4·7 재·보선에선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에게 20대(34.1% 대 55.3%)와 30대(38.7% 대 56.5%)에서 정반대로 20%포인트 가량의 차이로 뒤졌다. 우리나라가 선거 때마다 ‘시소’처럼 이리저리 표심이 바뀌는 스윙보터(swing voter)가 많은 편이라고 하지만 이처럼 1년 만에 민심이 돌변한 적은 없었다.
선거의 중심에 선 MZ세대
20·30대 즉 MZ세대(1980년 이후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일컫는 합성어)의 ‘반란’으로 불릴 수 있었다. 여권 성향의 40대와 야권 성향의 50·60대 이상은 표심(票心)이 그다지 바뀐 게 없지만, 유독 MZ세대만 급변했다. 이들이 선거의 승부를 결정짓는 스윙보터로 굳건히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유권자 연령을 5세 단위로 나눠보면 특히 18~34세가 선거의 중심이란 게 확연하게 드러난다. 4·7 재·보선 직전 3월 27일 칸타코리아의 정당 지지율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35~54세는 37.8% 대 27.6%로 민주당이 더 높았다. 반면 55세 이상은 27.8% 대 35.6%로 국민의힘이 강세였다. 30대 후반에서 50대 전반은 여권 지지, 50대 후반부터는 야권 지지가 이번 선거에서도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18~34세는 여야 지지율이 22.0% 대 29.1%로 야권 지지가 높았다. 유권자 구성비를 보면 35~54세는 37.1%, 55세 이상은 38.1%로 거의 같았고, 18~34세가 24.8%였다. 즉 유권자 4명 중 1명인 18~34세가 어디로 쏠리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민심의 변곡점은 조국 사태와 추·윤 갈등
20·30대 반란의 시작은 20대였다. 20대 민심이 돌아선 것은 이른바 ‘조국 사태’가 시작이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2019년 초반에 50%였던 20대의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조국 사태가 절정이던 9월에 41%로 하락하며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42%)보다 처음으로 낮아졌다. 여당이 승리한 2020년 총선 이후 다시 60% 근처까지 치솟았던 20대의 문 대통령 지지율은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해 직무 정지 명령을 내리고 ‘추·윤 갈등’이 절정에 달했던 12월에 다시 37%로 추락했다.
20대에서 시작된 반란은 이때부터 30대로 치고 올라갔다. 작년 말 추·윤 갈등 국면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30대의 부정 평가가 50%로 43%였던 긍정 평가보다 처음으로 앞지르기 시작했다. 20·30대에게는 “부모 잘 만난 것도 능력”이라며 국민을 조롱했던 정유라씨의 행동과 조국 전 장관 일가의 입시 비리는 다를게 없었고, ‘윤석열 쳐내기’를 위해 검찰 개혁을 앞세운 추 전 장관에 대해서도 시선이 곱지 않았다.
4월초 케이스탯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우리사회가 공정하지 않다’는 평가가 20대(88%)와 30대(82%)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훨씬 높았다.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20대(71%)와 30대(61%)에서 윗세대에 비해 가장 높았다. 여기에 정부와 여당의 ‘위선’과 ‘내로남불’은 이들의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 땅투기 의혹, 임대차 3법을 주도한 박주민 의원과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던 김상조 전 정책실장의 임대료 인상 논란은 20·30대의 분노를 유발한 치명적인 선거 악재(惡材)였다.
MZ세대 반란은 대선까지 이어질까
하지만 4·7 재·보선에서 MZ세대의 야당 지지에 대해선 그 실체를 파악해봐야 한다. 야당 지지가 일시적인 것이지 구조적인 것인지에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20대의 투표율이 높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탄핵 정국 직후였던 2017년 대선에서 20대 투표율(76.1%)은 30대(74.2%)와 40대(74.9%)를 제쳤다. 2018년 지방선거도 20대 투표율은 52.0%로, 30대(54.3%), 40대(58.6%)와 큰 차이가 없었다. 2020년 총선도 20대 투표율(58.7%)은 30대(57.1%), 40대(63.5%)와 크게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4·7 재·보선은 중앙선관위의 연령별 투표율이 최종적으로 발표되진 않았지만, 선거 직전 칸타코리아 조사에서 적극적 투표 의향이 20대는 48.1%로 30대(75.7%), 40대(77.1%) 등보다 크게 낮았다.
배경은 정치 참여가 삶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느끼는 ‘정치적 효능감’ 하락이 꼽힌다. 탄핵 정국 이후 문재인 정부 탄생을 위해 투표장으로 몰려갔지만 실업률과 집값 상승, 조국 사태 등으로 20대에게 깊은 상처를 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보수 야권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도 일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투표장에 나온 20대는 야당을 많이 지지했지만, 나오지 않은 상당수의 20대는 적극적으로 야당에게 표를 던지기엔 아직 마음이 돌아서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난달 한국갤럽 조사에서 민주당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 20대와 30대는 각각 33%와 29%에 그쳤다. 국민의힘도 호감도가 각각 26%와 29%로 낙제점을 받았다. 케이스탯 조사에선 ‘현재 마음에 드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20대 84%, 30대 70%로 대다수에 달했다. 이번 선거는 탄핵 사태 이후 보수 정당의 첫 승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MZ세대의 투표율이나 각종 여론 지표로 보면 야당에 대해서도 여전히 신뢰가 높지 않다는 게 확인되고 있다.
MZ세대의 반(反)민주당 기류가 지속될 것인지는 예단하기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내년 3월 대선에서도 판도를 좌우할 것이란 점이다. MZ세대의 표심은 ‘디스코 팡팡(빙빙 돌면서 위아래로 흔들리는 놀이기구)’처럼 선거 때마다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대다수의 20·30대가 우리 사회의 ‘불공정’을 주시할 뿐 아니라 삶에 대한 전망의 위기를 겪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그 위기의 근원과 해법이 무엇인지 따져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