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코로나19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길게 보면 이 위기는 언젠가 끝나겠지만 이 과정에서 코로나19가 교육을 멈추게 하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 해외에서 한국인 입국이 금지되고 국내에서 가게들이 문을 닫고 있지만 교육만은 멈출 수 없다. 우리나라는 6.25 전쟁 때도 교육을 멈추지 않았고 이러한 사람에 대한 지속적 투자가 눈부신 산업화와 민주화로 열매를 맺었다. 코로나19의 전염성을 우려하여 학교와 대학의 개학을 무작정 연기하거나 수업을 무더기로 취소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사실 학생들이 교실에서 똑같은 내용의 강의를 듣는 수업방식은 그 동안 21세기의 아이들을 19세기의 공장형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비판받아 왔었다. 이러한 대량생산형 수업방식은 코로나19에 매우 취약하다. 그러나 이번에 만약 아이들 한 명 한 명의 가능성과 필요에 맞출 수 있는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한다면, 코로나19의 전염성도 차단하면서 오히려 위기를 교육발전의 기회로 만들 수 있다.
20세기 에듀테크가 온라인 수업 등을 통하여 기존의 수업을 대체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21세기 에듀테크는 AI(인공지능)를 활용하는 맞춤학습(adaptive learning)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온라인 학습플랫폼 기술의 확산으로 교사와 교수가 학생과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최적의 학습기회를 디자인해주는 방향으로 역할을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세계 어디에도 21세기 에듀테크를 전면적으로 도입한 나라는 아직 없다. 문제는 기술이 없어서가 아니다. 교사와 교수가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모든 학생의 수요에 맞추어 개별화된 학습 기회를 제공하도록 힘을 실어주는 “환경(enabling environment)”을 제공하지 못하고 심지어 이를 저해하는 규제의 벽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초중등학교의 경우 교육부가 지난 2월 23일 가정에서 온라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정부가 안내한 공공 콘텐츠들이 과연 사교육 시장에서 이미 인기를 끌고있는 민간의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맞춤학습 소프트웨어에 비하여 얼마나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금이야말로 그 동안 꾸준히 제안되었던 것처럼 교사에게 민간 에듀테크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하고 교사가 판단하여 구입하여 학생에게 배포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청들도 최근 영국에서 시작한 에듀테크 ‘시험학교(testbed school)’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여 민간 에듀테크를 학교현장에 시험적으로 적용하면서 교사들로부터 다양한 활용경험을 청취하고 개선방안 등을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에듀테크의 경쟁력도 높이고 현장수용성도 증가시키는 노력을 시작하여야 한다.
최근 의욕 있는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을 하려해도 과연 온라인 수업이 ‘수업시수’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것조차 아직 교육부와 교육청의 방침이 서 있지 않다. 하루빨리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정기준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물론 당장 모든 교사에게 일률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수업결손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수업이 가능한 학교와 교사부터 먼저 온라인 수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대구와 경북의 모든 학생들이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사회 캠페인을 벌여야 한다. 물론 학생에게 디지털 디바이스만 지급한다고 될 일은 아니다. 맞춤학습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학습플랫폼 기술과 같은 21세게 에듀테크 도입과 더불어 교사의 역할 변화까지 포함한 학습혁명이 대구와 경북에서 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대학의 경우에도 코로나19는 21세기 에듀테크를 도입하고 교수학습방식을 전환하는 파괴적 혁신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대학은 온라인 강의가 전체의 20%를 넘지 못한다는 교육부 규제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대학이 온라인 강의를 늘리고 싶어도 3주를 넘길 수 없다. 이러한 규제는 사이버 대학의 경우 오히려 오프라인 수업을 20% 넘지 못하게 하는 등 일반대학과 사이버대학 간의 칸막이 행정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이러다보니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학생 수요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는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의 세계적 추세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규제가 유지되고 있다.
세계 대학들은 같은 대학에 다녀도 어떤 학생에게는 캠퍼스에 상주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학습을 중심으로 교육하지만, 다른 학생에게는 주로 온라인을 통하여 교육하고 있다. 더 나아가 ASU(Arizona State University)는 GFA(Global Freshmen Academy) 과정을 도입하여 대학 1학년 전 과정을 국내외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하여 해외 학생들을 선발하여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만약 우리 대학이 1학년 과정을 모두 온라인으로 한다면 온라인 강좌 20% 제한에 저촉된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시대착오적 규제는 반드시 들어내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교수가 변화에 저항한다고 비난하기보다 이들이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ASU에는 100명이 넘는 교수학습 디자이너들이 교수의 온라인 강의 등을 지원해 준다. 무엇보다도, 교사와 교수가 과거 19세기 공장형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21세기 에듀테크의 활용을 통하여 학생과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최적의 학습기회를 디자인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물론 당분간 학생과의 인간적 연결은 따뜻한 전화 통화나 온라인 채팅 등으로 만족해야 하겠지만, 이것이 코로나19에 맞서서 교육을 멈추지 않고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우리의 길이다.
코로나19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길게 보면 이 위기는 언젠가 끝나겠지만 이 과정에서 코로나19가 교육을 멈추게 하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 해외에서 한국인 입국이 금지되고 국내에서 가게들이 문을 닫고 있지만 교육만은 멈출 수 없다. 우리나라는 6.25 전쟁 때도 교육을 멈추지 않았고 이러한 사람에 대한 지속적 투자가 눈부신 산업화와 민주화로 열매를 맺었다. 코로나19의 전염성을 우려하여 학교와 대학의 개학을 무작정 연기하거나 수업을 무더기로 취소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사실 학생들이 교실에서 똑같은 내용의 강의를 듣는 수업방식은 그 동안 21세기의 아이들을 19세기의 공장형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비판받아 왔었다. 이러한 대량생산형 수업방식은 코로나19에 매우 취약하다. 그러나 이번에 만약 아이들 한 명 한 명의 가능성과 필요에 맞출 수 있는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한다면, 코로나19의 전염성도 차단하면서 오히려 위기를 교육발전의 기회로 만들 수 있다.
20세기 에듀테크가 온라인 수업 등을 통하여 기존의 수업을 대체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21세기 에듀테크는 AI(인공지능)를 활용하는 맞춤학습(adaptive learning)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온라인 학습플랫폼 기술의 확산으로 교사와 교수가 학생과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최적의 학습기회를 디자인해주는 방향으로 역할을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세계 어디에도 21세기 에듀테크를 전면적으로 도입한 나라는 아직 없다. 문제는 기술이 없어서가 아니다. 교사와 교수가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모든 학생의 수요에 맞추어 개별화된 학습 기회를 제공하도록 힘을 실어주는 “환경(enabling environment)”을 제공하지 못하고 심지어 이를 저해하는 규제의 벽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초중등학교의 경우 교육부가 지난 2월 23일 가정에서 온라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정부가 안내한 공공 콘텐츠들이 과연 사교육 시장에서 이미 인기를 끌고있는 민간의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맞춤학습 소프트웨어에 비하여 얼마나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금이야말로 그 동안 꾸준히 제안되었던 것처럼 교사에게 민간 에듀테크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하고 교사가 판단하여 구입하여 학생에게 배포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청들도 최근 영국에서 시작한 에듀테크 ‘시험학교(testbed school)’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여 민간 에듀테크를 학교현장에 시험적으로 적용하면서 교사들로부터 다양한 활용경험을 청취하고 개선방안 등을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에듀테크의 경쟁력도 높이고 현장수용성도 증가시키는 노력을 시작하여야 한다.
최근 의욕 있는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을 하려해도 과연 온라인 수업이 ‘수업시수’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것조차 아직 교육부와 교육청의 방침이 서 있지 않다. 하루빨리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정기준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물론 당장 모든 교사에게 일률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수업결손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수업이 가능한 학교와 교사부터 먼저 온라인 수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대구와 경북의 모든 학생들이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사회 캠페인을 벌여야 한다. 물론 학생에게 디지털 디바이스만 지급한다고 될 일은 아니다. 맞춤학습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학습플랫폼 기술과 같은 21세게 에듀테크 도입과 더불어 교사의 역할 변화까지 포함한 학습혁명이 대구와 경북에서 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대학의 경우에도 코로나19는 21세기 에듀테크를 도입하고 교수학습방식을 전환하는 파괴적 혁신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대학은 온라인 강의가 전체의 20%를 넘지 못한다는 교육부 규제가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대학이 온라인 강의를 늘리고 싶어도 3주를 넘길 수 없다. 이러한 규제는 사이버 대학의 경우 오히려 오프라인 수업을 20% 넘지 못하게 하는 등 일반대학과 사이버대학 간의 칸막이 행정에 깊이 뿌리내려 있다. 이러다보니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학생 수요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는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의 세계적 추세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규제가 유지되고 있다.
세계 대학들은 같은 대학에 다녀도 어떤 학생에게는 캠퍼스에 상주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학습을 중심으로 교육하지만, 다른 학생에게는 주로 온라인을 통하여 교육하고 있다. 더 나아가 ASU(Arizona State University)는 GFA(Global Freshmen Academy) 과정을 도입하여 대학 1학년 전 과정을 국내외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하여 해외 학생들을 선발하여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만약 우리 대학이 1학년 과정을 모두 온라인으로 한다면 온라인 강좌 20% 제한에 저촉된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시대착오적 규제는 반드시 들어내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교수가 변화에 저항한다고 비난하기보다 이들이 21세기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ASU에는 100명이 넘는 교수학습 디자이너들이 교수의 온라인 강의 등을 지원해 준다. 무엇보다도, 교사와 교수가 과거 19세기 공장형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21세기 에듀테크의 활용을 통하여 학생과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최적의 학습기회를 디자인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물론 당분간 학생과의 인간적 연결은 따뜻한 전화 통화나 온라인 채팅 등으로 만족해야 하겠지만, 이것이 코로나19에 맞서서 교육을 멈추지 않고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우리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