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작물 100종 가운데 70종 이상이 꿀벌의 화분 매개로 생산된다는 사실 알고있어?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일을 하는 꿀벌들이 집단 실종되는 현상이 확인되고 있어.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
1.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꿀벌들이 최근 전국 곳곳에서 사라지거나 집단 떼죽음을 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한국 양봉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2일 기준 전국 227만6593개 벌통 중 39만517개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어. 농업진흥청에 따르면 월동에 들어갈 무렵 벌통 한 개 안에 사는 꿀벌 개체수는 약 1만5000마리야. 추정컨대 전국에서만 최소 60억 마리 이상의 꿀벌이 사라진 거야.
꿀벌의 실종은 모든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꿀벌이 없다면 세계 100대 농산물의 생산량이 현재의 29%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어. 꿀벌은 작물, 과일, 채소, 식물 등의 수분 작용을 돕는데 꿀벌이 사라지면 작물의 수분에 인간의 개입이 필요해져. 그리고 식물들의 서식지가 바뀌고 벌을 먹는 새들도 사라지면서 먹이사슬에 영향을 줄 거야. 이러한 생태계 교란은 인류의 식량 안보에도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어.
2. 왜 사라지는거야?
꿀벌이 사라진 것은 지난 2010년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토종벌 65% 이상이 실종된 이후 두번째야. 농진청은 이번 '꿀벌 대량 실종'은 꿀벌응애류(기생충) 발생과 말벌류에 의한 집단 폐사, 이상 기온으로 인한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어.
특히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은 기후 위기야. 양봉업이 가장 발전돼있다는 미국,유럽 등지에서도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현상에 대한 확실한 원인을 단정하지는 못했어. 그러나 지구온난화가 온도 변화에 민감한 꿀벌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킴으로써 꿀벌 생존의 주요 위협이라는 데는 모두 동의하는 추세야.
3. 사라진 꿀벌을 돌아오게 하려면?
미국과 유럽 등 꿀벌 피해를 이미 크게 본 지역에서는 개체 수 감소를 막기 위해 공공장소 풀을 토종 꽃 식물로 대체하고 도시 곳곳에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등 여러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어. 최근에는 영국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벌집의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 정보기술(IT)을 양봉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늘고 있어.
UN은 매년 5월 20일을 '세계 꿀벌의 날'로 지정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꿀벌 보호 활동과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꿀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어. 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온 만큼 더 이상 꿀벌들이 사라지지 않도록 플랜터들도 다 같이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
※ 본 콘텐츠와 관련하여 의견 또는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메일(media@riesplant.com)로 문의해줘.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작물 100종 가운데 70종 이상이 꿀벌의 화분 매개로 생산된다는 사실 알고있어?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일을 하는 꿀벌들이 집단 실종되는 현상이 확인되고 있어.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
1.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꿀벌들이 최근 전국 곳곳에서 사라지거나 집단 떼죽음을 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한국 양봉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2일 기준 전국 227만6593개 벌통 중 39만517개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어. 농업진흥청에 따르면 월동에 들어갈 무렵 벌통 한 개 안에 사는 꿀벌 개체수는 약 1만5000마리야. 추정컨대 전국에서만 최소 60억 마리 이상의 꿀벌이 사라진 거야.
꿀벌의 실종은 모든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꿀벌이 없다면 세계 100대 농산물의 생산량이 현재의 29%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어. 꿀벌은 작물, 과일, 채소, 식물 등의 수분 작용을 돕는데 꿀벌이 사라지면 작물의 수분에 인간의 개입이 필요해져. 그리고 식물들의 서식지가 바뀌고 벌을 먹는 새들도 사라지면서 먹이사슬에 영향을 줄 거야. 이러한 생태계 교란은 인류의 식량 안보에도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어.
2. 왜 사라지는거야?
꿀벌이 사라진 것은 지난 2010년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토종벌 65% 이상이 실종된 이후 두번째야. 농진청은 이번 '꿀벌 대량 실종'은 꿀벌응애류(기생충) 발생과 말벌류에 의한 집단 폐사, 이상 기온으로 인한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어.
특히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은 기후 위기야. 양봉업이 가장 발전돼있다는 미국,유럽 등지에서도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현상에 대한 확실한 원인을 단정하지는 못했어. 그러나 지구온난화가 온도 변화에 민감한 꿀벌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킴으로써 꿀벌 생존의 주요 위협이라는 데는 모두 동의하는 추세야.
3. 사라진 꿀벌을 돌아오게 하려면?
미국과 유럽 등 꿀벌 피해를 이미 크게 본 지역에서는 개체 수 감소를 막기 위해 공공장소 풀을 토종 꽃 식물로 대체하고 도시 곳곳에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등 여러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어. 최근에는 영국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벌집의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 정보기술(IT)을 양봉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늘고 있어.
UN은 매년 5월 20일을 '세계 꿀벌의 날'로 지정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꿀벌 보호 활동과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꿀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어. 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온 만큼 더 이상 꿀벌들이 사라지지 않도록 플랜터들도 다 같이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
※ 본 콘텐츠와 관련하여 의견 또는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경우 이메일(media@riesplant.com)로 문의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