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has been added to your cart.
Should I order it along with the items in my shopping cart?
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2021년 10월 21일. 전남 고흥에 있는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도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를 발사했어. 이날을 위해서 수백 명의 과학자와 기술자가 2010년 3월부터 장장 11년 7개월의 준비과정을 거쳤다고 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t의 복잡한 구조물이야. 각각 추력이 75t급인 액체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으로 묶여 있는 1단부, 추력 75t급 액체엔진 하나가 달린 2단부, 추력 7t급 액체엔진이 달린 3단부로 구성되어 있어. 약 37만개의 부품이 원하는 시기에 적절한 성능을 내주면 추력 1.5t급의 인공위성을 600~800㎞ 상공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거야. 누리호를 위한 새로운 발사대의 설계와 제작도 모두 국내 기업의 작품이래.
2. 누리호’ 궤도 안착 실패
아쉽게도 누리호 발사 성공은 다음을 기약하게 됐어. 목표 궤도인 700㎞ 상공까지 비행하는 데는 성공했어. 1단, 2단, 3단 분리 등 ‘단분리 기술’이라는 어려운 과정은 모두 안정적으로 거친 거지. 그런데 함께 싣고 올라간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안착시키지 못했던 거야. 3단 엔진의 연소가 계획보다 46초 일찍 종료되어서 그렇대. 300㎞ 이상 올라간 우주 물체는 회수할 수 없어서 실패 원인은 전적으로 데이터로만 분석할 수밖에 없다더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 위원회’를 구성해서 실패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어.
3. 우주 강국으로 가는 길
2018년 11월 28일은 누리호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날이야. 당시 75t급 이상 중대형 엔진 개발에 성공한 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7번째라고 했어. 가장 의미 있는 사실은 그 시험발사체의 엔진이 누리호의 핵심엔진이고, 순수 우리 힘으로 개발했다는 거지. 올해 3월 25일에는 1단 종합연소시험도 성공적으로 끝내면서 우수한 성능을 증명했대. 만약 발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에 이어 7번째로 1t 이상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우주 강국이 돼. 비록 이번 실험에서 최종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내년 5월 2차 발사는 반드시 성공하면 좋겠어.
1.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2021년 10월 21일. 전남 고흥에 있는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도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를 발사했어. 이날을 위해서 수백 명의 과학자와 기술자가 2010년 3월부터 장장 11년 7개월의 준비과정을 거쳤다고 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t의 복잡한 구조물이야. 각각 추력이 75t급인 액체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으로 묶여 있는 1단부, 추력 75t급 액체엔진 하나가 달린 2단부, 추력 7t급 액체엔진이 달린 3단부로 구성되어 있어. 약 37만개의 부품이 원하는 시기에 적절한 성능을 내주면 추력 1.5t급의 인공위성을 600~800㎞ 상공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거야. 누리호를 위한 새로운 발사대의 설계와 제작도 모두 국내 기업의 작품이래.
2. 누리호’ 궤도 안착 실패
아쉽게도 누리호 발사 성공은 다음을 기약하게 됐어. 목표 궤도인 700㎞ 상공까지 비행하는 데는 성공했어. 1단, 2단, 3단 분리 등 ‘단분리 기술’이라는 어려운 과정은 모두 안정적으로 거친 거지. 그런데 함께 싣고 올라간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안착시키지 못했던 거야. 3단 엔진의 연소가 계획보다 46초 일찍 종료되어서 그렇대. 300㎞ 이상 올라간 우주 물체는 회수할 수 없어서 실패 원인은 전적으로 데이터로만 분석할 수밖에 없다더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 위원회’를 구성해서 실패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어.
3. 우주 강국으로 가는 길
2018년 11월 28일은 누리호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날이야. 당시 75t급 이상 중대형 엔진 개발에 성공한 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7번째라고 했어. 가장 의미 있는 사실은 그 시험발사체의 엔진이 누리호의 핵심엔진이고, 순수 우리 힘으로 개발했다는 거지. 올해 3월 25일에는 1단 종합연소시험도 성공적으로 끝내면서 우수한 성능을 증명했대. 만약 발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에 이어 7번째로 1t 이상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우주 강국이 돼. 비록 이번 실험에서 최종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내년 5월 2차 발사는 반드시 성공하면 좋겠어.